LG전자가 스마트폰 산업 종료를 결정한 가운데 ‘중고폰 보상판매 프로그램 운영 방법을 두고 다체로운 휴대폰성지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다. LG전자는 “조만간 발표한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선 타사 제품으로 교환 또는 포인트 지급 방안 등을 전망하고 있다.
10일 업계의 말을 인용하면, LG전자는 이동통신3사 등과 중고폰 보상판매 프로그램 운영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다.
중고폰 보상 프로그램은 신형 프리미엄 핸드폰을 구매해 일정기간 이용한 바로 이후 반납하고 같은 제조사의 최신모델로 기기를 변경할 경우 남은 할부금을 면제해주는 방식이다.
문제는 신형 LG 핸드폰이 더 이상 출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LG전자는 지난 5일 이사회에서 이번년도 12월말부터 휴대전화 산업 종료를 결정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신상 개발은 중단됐고 기존 제품은 재고가 소진될 때까지만 판매한다. LG전자가 보상판매 프로그램 가입자들에게 최신 LG 스마트폰을 공급하지 못하는 만큼 프로그램 수정은 불가피하다.
업계에선 LG전자의 대응방법으로 보험료 환급부터 의무면제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온다.
우선 프로그램 가입자가 현재까지 납부한 보험료를 현금 또는 LG전자 온라인 몰 포인트로 반환되는 방식이 나온다. 저러할 때 프로그램 가입자들은 최대 70만원 가량을 돌려받을 수 있다. 또 지급된 포인트로 LG전자의 다른 제품을 구매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같이 진행한 이통사와 중고폰 사업자에겐 돌아갈 이득이 없다. 또 ‘할부금 기대 면제액 보다 ‘보험료 환급액이 적은 만큼 가입자들도 혜택이 줄었다고 느낀다.
이 같은 까닭에 의무조건을 완화하는 방법이 유력해 보인다. 23개월 다루고 기기를 반납한 바로 이후 LG전자가 아닌 삼성·애플 등 타사 스마트폰을 선택해도 남은 할부금을 면제해주는 방식이다. 이럴 때 이통사들도 가입자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중고 핸드폰 시세 하락으로 매입을 담당한 사업자와 갈등이 생성할 가능성도 있다.
LG전자 지인은 “현재 보상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이통사 등과 협의 중”이라며 “빠른 시일 내 구매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